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입니다.
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개념 중 하나가 바로 간편장부 대상자와 기준경비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간편장부 대상자가 누구인지, 기준경비율이란 무엇인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1. 간편장부 대상자란?
간편장부 대상자는 소규모 개인사업자 중 복식부기 의무가 없는 사업자를 말합니다.
복잡한 회계처리가 아닌, 단순한 수입과 지출 기록만으로 세무 신고가 가능합니다.
✅ 2025년 간편장부 대상자 기준
업종 | 수입금액 기준 (직전 연도) |
도·소매업 | 3억 원 미만 |
제조업, 음식점업 | 1억 5천만 원 미만 |
서비스업, 프리랜서 | 7,500만 원 미만 |
위 조건에 해당하면 자동으로 간편장부 대상자가 되며, 홈택스에서 본인의 업종과 직전연도 수입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기준경비율이란?
기준경비율은 장부를 작성하지 않았을 경우 적용되는 간편한 세금 계산 방식입니다.
업종별로 국세청이 정한 평균 경비율을 수입금액에 곱해 필요경비를 계산합니다.
✅ 기준경비율 적용 대상
- 간편장부 대상자이면서 장부 미작성자
- 증빙이 부족해 실경비 인정이 어려운 경우
- 복식부기 의무자는 제외
✅ 기준경비율 계산 예시
기준경비율 방식은 총수입에서 일정 비용을 자동으로 차감해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예시) 총수입 5,000만 원, 기준경비율 60%
필요경비 = 5,000만 원 × 60% = 3,000만 원
과세표준 = 5,000만 원 - 3,000만 원 = 2,000만 원
하지만, 실제 지출한 비용이 이보다 많아도 장부가 없으면 기준경비율 이상으로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결국, 실경비가 많은 업종일수록 기준경비율 적용은 불리할 수 있습니다.
3. 간편장부 vs 기준경비율 비교
구분 | 간편장부 | 기준경비율 |
장부 작성 여부 | O (직접 작성) | X (미작성 가능) |
비용 인정 방식 | 실제 경비 반영 | 평균값 적용 |
세금 절감 효과 | 높음 | 낮을 수 있음 |
권장 대상 | 지출 많은 업종 | 초보, 단순 사업자 |
결론: 가능하면 간편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절세에 훨씬 유리합니다.
4. 업종별 기준경비율 표 (2025년 기준)
업종 분류 | 주요 업종 예시 | 기준경비율(%) |
도매 및 소매업 | 도소매업, 부동산매매업 등 | 80 |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섬유제품 제조업 등 | 85 |
숙박 및 음식점업 | 음식점, 숙박업 등 | 90 |
건설업 | 건축업, 토목공사업 등 | 85 |
운수업 | 육상운송업, 해상운송업 등 | 80 |
정보통신업 | 소프트웨어 개발업, 통신업 등 | 75 |
금융 및 보험업 | 보험대리점, 금융컨설팅 등 | 70 |
부동산 임대업 | 상가 임대업, 주택 임대업 등 | 60 |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법무사, 세무사, 회계사 등 | 65 |
교육 서비스업 | 학원, 교육기관 등 | 70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병원, 요양원 등 | 65 |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체육관, 공연기획 등 | 75 |
기타 서비스업 | 미용업, 세탁업 등 | 80 |
📌 참고: 위 표는 일반적인 업종 분류에 따른 기준경비율을 요약한 것으로, 실제 적용 시에는 국세청에서 고시한 세부 업종 코드와 해당 경비율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 기준경비율 상세 확인 방법
국세청에서는 매년 업종별 기준경비율을 고시하며, 해당 자료는 국세청 홈페이지 또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경비율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간편장부 대상자인데 장부를 안 써도 되나요?
A. 법적으로 의무는 없지만, 장부 미작성 시 기준경비율이 적용되어 세금이 더 나올 수 있습니다.
Q2. 간편장부와 복식부기의 차이는?
A. 복식부기는 모든 거래를 이중 기록하는 반면, 간편장부는 단순 수입·지출 기록만으로 충분합니다.
Q3. 홈택스에서 간편장부 대상자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에서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마무리
간편장부 대상자 기준과 기준경비율을 정확히 이해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훨씬 쉬워집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 비용을 꼼꼼히 정리하고 장부를 작성해두면 세무조사 위험도 줄이고 절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에서는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간편장부 작성 팁을 실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가이드
사업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세무 업무 중 하나가 바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방법입니다. 특히 부가가치세 과세 사업자라면 매출이나 매입 시 필수적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
blue.corenews.co.kr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 쉽게 따라하기 (2025 최신방법)
요즘은 지방세완납증명서 인터넷발급만 잘 활용해도 직접 구청을 방문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서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동산 거래, 대출, 각종 민원 신청 시 꼭 필요한 서류이기 때문
blue.corenews.co.kr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차이 총정리!
2025년 세법 기준에 따라,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기준과 혜택이 변경되었습니다. 특히 간이과세자 기준은 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으로 상향 조정되며 더 많은 자영업자가 해당될 수 있게
blue.corenews.co.kr